












97216
IT 교육 강사진
취업 코칭 강사진
그저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당신을 실무 전문가로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개발자 양성 과정 3회차
과정소개
생성형 AI에 대한 최신 트렌드(거대 언어모형, 챗봇, 이미지 생성 등)에 대해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
진출분야
NLP 전문가, 이미지 생성 전문가, 추천시스템 전문가, 데이터 분석 전문가,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전문가 등
교육 기간
2025.07.14 ~ 2026.01.06
교육 시수
900시간 / 6개월
모집마감
정원 25명 / 2025.07.11
커리큘럼
과정 (총 900시간) | 수업내용 |
---|---|
개요 (8시간) | 교육과정 소개 |
디자인씽킹 방법론 | |
워밍업 프로젝트 | |
파이썬프로그래밍 (40시간) | 파이썬 문법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
마크다운 | |
Colab, Jupyter Notebook | |
파이썬 라이브러리와 활용 (40시간) | Pandas, Matplotlib, Seaborn 을 활용한 분석과 시각화 |
Numpy 배열 연산활용 | |
Word, Excel, PDF 문서 자동화 | |
시각화와 분석 (30시간) | Seaborn 통계 시각화 |
Folium 공간정보 시각화 | |
Network 시각화 | |
시각화를 활용한 분석 | |
SQL 데이터베이스 (12시간) | DDL, DCL, DML |
SQLite, Query | |
파이썬과 데이터베이스 | |
웹 크롤링 / 스크레이핑 데이터 수집과 처리 (30시간) |
Selenium 웹 스크레이핑 |
JSON, XML, REST API | |
정규표현식 | |
데이터 정제와 시각화 | |
머신러닝 (80시간) | SCIKIT-LEARN 활용 |
Regression 과 Classification | |
OpenCV 컴퓨터 비전 기초 | |
추천 시스템 | |
데이터 전처리 기법 | |
머신러닝 모형 튜닝 기법 | |
Feature Engineering 기법 | |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 (40시간) | 확률과 통계 기초 |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 | |
확률과 통계에 기반한 NLP 모델 | |
데이터/머신러닝 어플리케이션 이론과 실습 (60시간) |
데이터/머신러닝 어플리케이션 제작 기초 (Visual Studio Code) |
어플리케이션 제작 실습 | |
딥러닝 AI기초 (40시간) | TenserFlow를 활용한 AI 모델링 |
PyTorch를 활용한 AI 모델링 | |
CNN, RNN, LSTM | |
자연어, 컴퓨터 비전의 기초 원리 | |
딥러닝 기반의 추천시스템 | |
생성형 AI와 NLP (60시간) | NLP 전처리 |
임베딩 (Word2Vec, ELMO, Glove) | |
Seq2Seq, Attention, Transformers | |
생성형 AI심화 (40시간) | 거대언어모형, 파인튜닝,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LangChain, LLaMAIndex, OpenAI |
자연어-이미지 멀티모달 | |
DALL-e, Stable Diffusion | |
인공지능 서비스제작 심화 - 프론트엔드 (80시간) |
HTML, CSS, JavaScript, DOM 제어, jQuery, Boot Strap 프론트엔드 프로그래밍 |
인공지능 서비스제작 심화 - 백엔드 (40시간) |
백엔드 프레임워크, Model, Form, RESTARPI 서버, 서버 프로그래밍 |
프로젝트 1 (140시간) | 생성형 AI 모델링 프로젝트 |
프로젝트 2 (160시간) | 생성형 AI기반 서비스 제작 프로젝트 |
Git-Ops를 활용한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전문가 양성과정 1회차
과정소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초 개념과 소프트웨어 빌드 및 배포, 인프라 운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인 Git-Ops를 활용하여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배워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될 수 있습니다.
진출분야
클라우드 엔지니어 전문가, 시스템 엔지니어, 네트워크 엔지니어, 클라우드 아키텍트
교육 기간
2025.05.12 ~ 2025.11.12
교육 시수
960시간 / 6개월
모집마감
정원 22명 / 2025.05.07
커리큘럼
과정 (총 960시간) | 수업내용 |
---|---|
기초 개념 및 도구 활용 (40시간) |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
GitOps 도구 소개 | |
Git 및 GitHub/GitLab 활용 | |
클라우드 인프라 기초 | |
가상화 기초 | |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
AWS 계정 및 리소스 관리 | |
GitOps 구현 및 CI/CD 통합 (80시간) | GitOps 작업 흐름 및 원리 |
GitOps를 활용한 인프라 코드 관리 | |
GitOps를 통한 CI/CD 구현 | |
GitOps에서의 롤백 및 버전 관리 | |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관리 (96시간) |
GitOps 구현 |
GitOps 워크플로우 | |
GitOps 도구 활용 | |
코드로 인프라 관리 (IaC) | |
퍼블릭 클라우드에서의 IaC 활용 | |
CI/CD 기초 | |
CI/CD 워크플로우 소개 | |
GitLab CI 등 CI/CD 도구 활용 | |
지속적 통합과 배포 | |
GitOps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스케일링 (96시간)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GitLab CI 등의 CI/CD 도구 소개 | |
소스 코드 변경을 통한 자동 빌드 및 테스트 | |
CI/CD 파이프라인과 GitOps의 결합 | |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GitOps 워크플로우 | |
롤링 배포와 블루-그린 배포 | |
롤링 업데이트와 블루-그린 배포의 개념 | |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GitOps 구현 | |
GitOps를 활용한 롤링 업데이트 구현 | |
블루-그린 배포에 대한 GitOps 워크플로우 | |
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 | |
애플리케이션의 수평 및 수직 스케일링 | |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자동 스케일링 설정 | |
부하 분산을 위한 스케일링 | |
GitOps를 활용한 자동 스케일링 설정 | |
GitOps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 (120시간) | GitOps를 활용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
GitOps와 IaC 통합 | |
GitOps를 활용한 클라우드 리소스 배포 | |
GitOps 워크플로우 구성 | |
CI/CD와 GitOps의 결합 | |
롤링 업데이트 및 롤백 전략 | |
모니터링과 로깅 (88시간) | 클라우드 인프라 모니터링 |
모니터링 메트릭 및 경고 설정 | |
로그 수집과 분석 | |
ELK 스택 등을 활용한 로그 분석, 로그 수집 | |
산업체 요구교과 프로젝트 | On-Premise 프로젝트 (112 시간) |
Public Cloud 프로젝트 (128 시간) | |
GitOps 프로젝트 (200 시간) |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풀스택 개발자 양성 과정 9회차
과정소개
고객 정보 통합, 상품 개발, 수수료 통합 관리 등에 대한 금융권 SW 개발을 위한 백엔드, 프론트엔드 개발능력을 한번에 학습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위한 풀스택 개발자를 양성하는 과정
진출분야
풀스택 개발자, 핀테크 서비스 개발자 , 금융권 개발자
교육 기간
2025.05.28 ~ 2025.12.01
교육 시수
968시간 / 6개월
모집마감
정원 25명 / 2025.05.26
커리큘럼
과정 | 수업내용 | 훈련시간 |
---|---|---|
DB 응용 SW 개발 | Linux Server | 200 |
Database Programming | ||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
웹 서비스 개발 | HTML5 / CSS3 / 부트스트랩 | 200 |
JavaScript / jQuery / Ajax / Node.js | ||
JSP & Servlet | ||
Spring Framework & Spring Boot | ||
핀테크 개발 | 핀테크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법론 | 160 |
금융결제원 API 활용법 | ||
금융 데이터 통계 분석 방법 | ||
산업체 요구교과 프로젝트 | 데이터베이스 응용 SW 개발 | 400 |
웹 서비스 구현 | ||
핀테크 응용 서비스 구현 | ||
재량교과 | 수료식 | 8 |
프로젝트 발표회 | ||
총계 | 968시간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동화 서비스
설계 및 구현과정 2회차
과정소개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두 환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하고, 자동화 환경을 이용한 효과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습득합니다.
진출분야
클라우드 엔지니어
교육 기간
2025.08.29 ~ 2026.03.26
교육 시수
1064시간 / 7개월
모집마감
정원 25명 / 2025.08.08
커리큘럼
교과목명 | 훈련시간 |
---|---|
IT 인프라 구조의 이해 | 39 |
Python 언어 깨기 | 40 |
Linux System 구축 및 서비스 관리 | 72 |
PowerBI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 작성 | 40 |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관리 | 72 |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 | 72 |
Private Cloud 구축 | 64 |
Amazon Web Service 기반 인프라 설계 및 구현 | 80 |
Google Cloud Platform을 이용한 인프라 설계 및 구현 | 24 |
코드형 인프라를 이용한 인프라 배포 자동화 | 48 |
관리 자동화를 위한 Ansible | 40 |
Docker & Kubernetes | 72 |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 구현 및 관리 | 64 |
(프로젝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구현 | 144 |
(프로젝트) 멀티 클라우드와 자동화 환경을 이용한 서비스 구현 | 184 |
오리엔테이션 | 1 |
취업코칭 | 8 |
프로젝트 발표회 | 8 |
총계 | 1064시간 |
(디지털컨버전스)웹 융합 SW 기반 빅데이터 솔루션 개발자 양성과정
과정소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DB시스템 구축, 웹 융합 SW 개발 기술 등을 습득하여 빅데이터 솔루션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SW전문가로 취업하는 과정
진출분야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풀스택 웹개발자, 빅데이터 솔루션 개발자, 데이터 기반 웹서비스, 공공기관 빅데이터 전문가
교육 기간
2025.09.22 ~ 2026.03.03
교육 시수
840시간 / 5개월
모집마감
정원 22명 / 2025.09.20
커리큘럼
교과목명 | 훈련시간 |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48 |
웹 융합 SW 개발 | 222 |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테스트 | 84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108 |
웹 표준 UI 구현 | 102 |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168 |
재량교과 | 6 |
프로젝트 | 102 |
총계 | 840시간 |
FAQ
내일배움카드는 왜 필요하고 어떻게 발급받아야 하나요?
[내일배움카드를 가장 빨리 발급받는 방법]
내일배움카드는 고용노동부에서 취업 및 직무 전환을 원하는 모든 국민을 위해 직업능력 개발 교육비를 담아 제공하는 카드에요. 최대 500만 원 + 50만 원 크레딧을 무료로 제공해 드리며, 국비 지원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하며, 고용 24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어요.
내일배움카드는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지만 공무원, 고소득자, 부정수급자 등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발급받으실 수 없어요. 링크를 클릭하고 내가 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교육 시간과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월~금, 9시부터 18시까지 100% 오프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사전학습이 꼭 필요한가요?
개발에 대한 기초지식이 전혀 없으신 비전공자라면 꼭 참여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훈련장려금도 추가로 받을 수 있나요?
참여자의 소득과 재산 등에 따른 두 가지 유형에 해당되는 분은 훈련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유형은 50만원, 2유형은 28만 4천원이 지원됩니다.
지원내용과 신청은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 또는 관할 고용센터에 문의바랍니다.
훈련장려금을 받는 기준이 있나요?
훈련기간 동안 월 11만 6천원이 기본적으로 지급되고, K디지털트레이닝 특별훈련수당 20만원이 추가로 지급되어 총 31만 6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단위기간별 80%이상의 출석률이 되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재직자, 예비퇴사자, 대학생도 가능한가요?
*재직자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므로 재직자는 선발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퇴사예정자
퇴사예정이신 경우 수강이 가능합니다.
단, 재직자 자격으로 수강신청을 한 경우 훈련장려금 수령에 지장이 있으므로, 개강 전 고용보험상실 신고를 완료할 것을 권장합니다.
*대학생
훈련 일정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내일배움카드 지원 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4년제 대학 재학생은 2학년 2학기 종료 시점부터 지원 가능
② 3년제 대학 재학생은 1학년 2학기 종료 시점부터 지원 가능
③ 2년제 대학 재학생은 입학 시점부터 지원 가능
④ 그 외 5~6년제 대학 재학생은 각각 3학년 2학기, 4학년 2학기 종료 시점부터 지원 가능
이전에 다른 국비 수업을 들었는데 참여 가능한가요?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을 참여했더라도 K디지털트레이닝 수강이 가능합니다.
단, K디지털트레이닝 과정은 1인 1회 한하여 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에 K디지털트레이닝 과정을 참여했다면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자비 부담액은 없나요?
전액 무료입니다.
아이티뱅크는 고용노동부의 K-디지털 트레이닝과정 공식 훈련기관으로 전액 무료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내일배움카드는 어떻게 발급하나요?
내일배움카드는 고용24(www.work24.go.kr)을 통해 카드 발급 자격을 확인한 후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발급 완료일까지 1주 이상 소요되며, 최소 개강 7일 전에 발급이 완료되어야합니다.
내일배움카드 발급 자격이 있나요?
구직자, 재직자 모두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가능합니다.
단, 아래 해당하는 분들은 발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현직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 만 75세 이상인 사람
- 졸업까지 남은 수업 연수가 2년을 초과하는 대학생
- 연 매출 1억 5천만원 이상의 자영업자
- 월 임금 300만원 이상인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
- 월 임금 300만원 이상이면서 45세 미만인 대규모기업종사자
선발 절차가 있나요?
① 방문상담
K디지털트레이닝 과정은 기관 방문상담이 필수입니다. 온라인 또는 전화로 방문상담을 신청하신 후, 아이티뱅크로 방문하시면 교육과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드립니다.
② HRD 수강신청
선발 확정 후 매니저 안내에 따라 HRD-Net을 통해 수강신청을 완료합니다. 내일배움카드 발급은 최대 1주일까지 소요될 수 있으니 가급적 미리 발급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③ 개강
사전에 안내한 개강 일정 확인 후 기관으로 출석합니다.
특정 지점에서만 수강이 가능한가요?
종로점과 노량진점 각각 고용노동부를 통해 승인받은 과정이 다릅니다. 원하시는 과정이 있다면 해당 과정을 승인받은 지점에서만 수강이 가능합니다.
비대면으로 수업을 들어도 되나요?
오프라인 수업입니다. 비대면으로는 수강이 어렵습니다.
노트북 준비해가야 하나요?
강의실내 PC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공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이 불편하시다면 개인 노트북을 지참하여 수업에 참여하셔도 무관합니다 다만, 주말 혹은 저녁 강의가 배정되어있는 경우 수업 종료 후 기존 상태로의 원복이 필요합니다.
사물함이 있나요?
개인 사물함은 따로 없습니다.
준비물이 필요 할까요?
필기도구와 USB 저장매체 정도는 미리 준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케이지에듀원(이하'회사'라한다)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개인정보 수집항목을 확인 후 동의하셔야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3.보유·이용기간
4.개인정보 제공 동의 거부 권리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